오순절/은사주의의 운동
1.오린겐,크리소스톰등 교부들의 진술을 통하여 볼 때,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 은사가 나타났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 초기 기독교 시기에 어떤 은사들의 현현이 점점 줄어져 갔음을 시사해 준다. 특별히 초자연적인 은사의 현현이 줄어든 것은 기독교가 점점 제도화된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성경은 신약의 교회가 은사주의적인 교회였음을 보여준다. 초대교회는 내외적인 많은 어려움 속에서 교회의 은사들과 오순절의 능력을 유지했었다. 그러나 기독교가 국교로 인정되고 세력을 얻은 후에 이 기적적인 능력은 점점 덜 경험하게 되었고 교회는 점점 의식주의적이고 성례적인 믿음을 갖게 되었다.
3. A.D185-212 사이에 일어난 몬타니즘 운동은 교회의 은사를 회복시키고자 했던 시도였다. 그러나 이 운동은 교회에 의해 정죄를 받았다. 정죄의 큰 요인은 은사가 나타났기 때문이 아니라 예언적인 언급들이 성서와 동일한 권위를 갖는다는 Montanus의 주장 때문이었다.
4.성령의 초자연적인 은사들에 대한 어거스틴의 "중지이론"은 그 후의 신학자들에게 여러 세기 동안 영향을 주었다.
5. 4세기의 존 크리소스톰은 고린도전서 12장에 대한 주해서에서 성령의 은사들은 사도들의 시대 이후에 사라졌다는 언급을 했다.
6.루터도 어거스틴과 크리소스톰의 사고를 따랐다.
7.수세기 동안 로마 카톨릭과 개신교 모두 성령의 은사들은 초대 교회와 함께 끝났다는 견해를 수용해 왔다. 이 견해는 19세기까지 전통적으로 받아들여 졌다.
8. 오순절 운동은 이 은사중지론에 종지부를 찍게되는 아주 중요한 운동으로 교회 역사에 들어오게 된다
역사학자들은 오순절주의의 기원을 1901년 미국 캔사스주에 있었던 팔함의 부흥회로 본다. 그는 방언을 성령세례의 증거로 보았다. 이는 고전적 오순절주의에 본질이 되었다. 그후 성결주의 흑인 설교가 시무어에 의한 아주사 거리 부흥운동은 오순절운동의 불을 지피는 사건이 되었다. 이 부흥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은 성령의 은사들이 회복되었다고 믿기 시작했다.
이 운동은 순식간에 전세계로 확산 되었으며 기독교 성장에 있서 대부분의 다른 기독교 공동체를 능가하게 되었다.
9.오순절 운동의 영향으로 영적 부흥에 대한 소원들이 기성교회들 안에서 일어나면서 방언과 신유를 포함하는 성령의 은사들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 기성교회 안에서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는 개신교 교회들과 로마 카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화까지 확산되었다.이 갱신 운동은 성령의 은사들의 재현을 인정한다. 은사주의 운동은 기독교의 초교파적운동으로 확산되었다.
'은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 지식의 말씀의 은사 (0) | 2009.04.26 |
---|---|
성도들의 모든 활동들은 "은사들"이라고 제안하는 것이 가능한가? (0) | 2009.04.26 |
부여 받은 성령의 은사 확인 가이드라인 (0) | 2009.04.26 |
권고,위로의 은사와 보혜사 성령과의 관련성 (0) | 2009.04.26 |
낮은 자존감 낮은 자아상 (0) | 200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