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지혜의 말씀의 은사"
이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지혜의 은사가 아니고 "지혜의 말씀"의 은사이다. "지식"과 대조해 이해할 때 "지혜"는 "실제적인 행동이나 행위"에 대한 통찰력을 의미한다. 즉,지혜의 말씀의 은사는 방법적인 것으로 지식의 말씀의 은사는 사실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지혜의 말씀의 은사는 직접 계시와 관련이 있고 실제적인 행동이나 행위에 대한 통찰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교회나 신앙의 삶을 살아가다 보면 어떠한 행동을 해야 할까에 대한 중대한 결정을 내려야만 할 때가 있다. 이러한 때 "지혜의 말씀"의 역사는 성령의 인도하심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지혜의 말씀은 성령께서 우리의 입술을 통해 말씀하시는 것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 한다거나 어떤 질문에 해답을 줄 뿐만 아니라 특별한 이해도 불러 일으킨다.
지혜의 말씀은 아주 난처한 문제에 봉착하게 될 때 성령께서 새로운 아이디어나 새로운 개념 및 새로운 진로들을 지시해 줌으로 해결하도록 하시는 성령의 은사이다.
2."지식의 말씀의 은사"
지식은 예언의 은사와 관련이 있다.(고전13:2) 과거에 발생했던 일,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 그리고 미래에 발생할 일들을 아는 것이다. "지혜의 말씀"이 실제적인 행동에 있어서 교회에 통찰력을 준다면 "지식의 말씀"은 이러한 행동의 기초를 형성해 주는 교리의 원리들에 빛을 준다. 이 은사는 교회에 성서적인 진리를 좀 더 확실하게 밝혀 주거나 혹은 진보적인 행동에 필요한 사실들을 계시해 줄 수 있다.
이는 교회를 인도하기 위한 것이지 개인을 위한 것은 아니다. 즉, "지식의 말씀"은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고전14:6) 현재 지식은 부분적이며(고전13:9),지식은 폐하게 된다.(고전13:8) 그러나 이는 발전 개발의 가능성이 있다.(고전13:11)
이 은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배움의 선구자이다. 먼저 진리를 파악하고 착상하는 사람으로 여겨진다. 이 은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배우는 일에 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장시간에 걸친 집중력을 가지고 있으며 놀라운 양의 지식을 습득하고 보유할 수 있다. 이 은사를 가진 사람은 학자로 연구와 학구적인 세계에서 활약한다. 이 은사를 가진 사람들은 사람들과 더불어 보다 학문과 더불어 즐거움을 즐긴다. 때로는 가르치는 은사가 지식의 은사와 연합이 된다. 지식의 은사를 가진 사람들 가운데 복음전파에 아주 직접적인 공헌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성경 번역가들이다.
'은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적인 재능"과 "영적 은사" (0) | 2009.04.26 |
---|---|
오순절 운동(은사주의 운동)에서 은사들의 역할 (0) | 2009.04.26 |
성도들의 모든 활동들은 "은사들"이라고 제안하는 것이 가능한가? (0) | 2009.04.26 |
오순절/은사주의의 운동 (0) | 2009.04.26 |
부여 받은 성령의 은사 확인 가이드라인 (0) | 200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