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종말론의 동향 1.현대 종말론의 동향 1.자유주의적인 접근방법 19세기는 다윈의 진화론,자연과학의 성장으로 지적인 것이 상당히 고조된 시대이다. 자유주의의 시도로 성서시대의 사건을 역사적인 방법으로 연구, 적용 새롭게 역사적인 예수에 대한 탐구가 시도되었다. 이들의 공통적 결론은 예수는 인간적인 교사였.. 조직신학 2009.04.26
타락하지 않은 천사의 역할 1.타락하지 않은 천사의 역할 천사는 1)하나님을 돕는 영적 존재이며 특별히 하나님의 구원의 사역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을 인간에게 전달하고 하나님의 백성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존재이다. 2)예배,사역,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사자로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 목적이다. 3)하나님의 백성을 보호하며,.. 조직신학 2009.04.26
성만찬 성만찬 1.화체설 이는 로마 카톨릭의 정설이다. 이 교리의 기초는 요6:51이다. 성만찬은 주님이 실제로 행하실 때 하신 말씀으로서 주의 성찬에는 주님이 실제로 존재한다. 로마 교회의 정의에 의하면 그리스도의 임재는 사제가 성만찬시의 예수 그리스도가 하셨던 말씀을 친히 말함으로 빵과 포도주를.. 조직신학 2009.04.26
교회의 삼위적 표상 교회의 삼위적 표상 1.하나님의 백성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구성된다. 그들은 하나님께 속하고 하나님은 그들에게 속한다. 하나님의 백성은 "성인들" 혹은 "성스러운 사람들"이다. 이는 영적으로 높은 지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는 하나님의 창조물로서 하나님의 주권적 일하심에 의해 성스.. 조직신학 2009.04.26
각종 종말론의 특징 1.철저한 종말론,실현된 종말론,정치적 종말론,세대주의 종말론의 특징 1. 철저한 종말론 요한네스 바이스(Johannes Weiss)는 예수가 언급하였던 하나님의 나라는 철저하게 종말론적,미래적,묵시적이었다는 이론을 세웠다. 예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윤리적인 통치로 하나님의 나라가 점진적으로 퍼져.. 조직신학 2009.04.26
성만찬에 대한 이해 성만찬에 대한 1)화체설 2)공제설 3)칼빈주의,개혁교회의 견해 4)기념적 이해 1.화체설 이는 로마 카톨릭의 정설이다. 이 교리의 기초는 요한복음 6:51절이다. 성만찬은 주님이 실제로 행하실 때 하신 말씀으로서 주의 성찬에는 주님이 실제로 존재한다. 로마 교회의 정의에 의하면 그리스도의 임재는 사.. 조직신학 2009.04.26
성서적 죄의 개념 성경적 죄의 개념과 결과. 1.성경적 죄의 개념 성경적으로 죄란 하나님의 말씀(율법)을 어기는 것이다. 즉 죄는 하나님의 율법에 어긋나는 이성적 피조물의 행위나 성향 또는상태라고 말 할 수 있다. 2. 죄의 결과 1)하나님과의 교제가 끊어졌고 신체와 영혼의 모든 기능이 손상되었다. 2)하나님의 형상이.. 조직신학 2009.03.03
삼위일체 교리 1. "삼위일체" 교리. 니케아 종교회의에서 아리우스파가 이단으로 정죄됨으로 본격적으로 대두된 삼위일체론은 아들이 피조물이 아니란 것을 핵심적으로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아들의 본질이 하나님 아버지와 하나임을 즉, 동일본질임을 강조한다. 기독교 박해와 이단의 출현에 맞서 교회는 정통 신.. 조직신학 2009.03.03
성서론 1. "성서론"의 기능. 하나님은 자신을 나타내시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이시다. 많은 자연주의자들은 최상의 하나님의 계시는 자연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자연계시는 극히 제한되어있다. 자연은 놀라운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서도, 그분의 거룩하심에 대해서도, 예수 그리스도를 .. 조직신학 2009.03.03
조직신학의 정의 1. "신학"의 정의. 어원적으로 Theology(신학)은 theos(God,하나님) + logia(discourse;담화,reason;말씀,진리)로 discourse or reason about God 즉 하나님에 관한 논리적 학문, 하나님에 관한 진리를 뜻한다. 기독교의 하나님은 살아계신 인격체이시기 때문에, 이 기초적 정의는 하나님의 일하심과 피조물에 대한 하나님의 관.. 조직신학 2009.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