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오순절 운동(은사주의 운동)에서 은사들의 역할
1.오순절 운동은 초대교회 이후 오랫동안 사장되었거나 무시되어 왔던 은사의 재발견이 이루어졌고 재등장하게 되었다. 방언과 병치유등의 은사의 나타남은 과거의 성서적 사건이 오늘날에도 얼마든지 재현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고 이에 대한 반응은 과히 열광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2.성령의 역사하심의 재조명은 삼위일체의 하나님이 아들 그리스도에 편중된 불균형적 신앙을 조정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삼위일체의 하나님은 동등하신 분이고 동일한 위치에서 역사하신다. 그러나 아들 그리스도의 편중으로 성령은 뒷편에 있을 수 밖에 없었고 이로 구원론에 편중된 신앙을 갖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오순절의 은사운동으로 영혼구원뿐만 아니라 실제 이땅에서 이루어지는 구원에 대해서 새로운 사고를 불러 일으켰다. 이성적인 신앙의 한계를 벗어나 체험적인 신앙이 대두되었다.
3. 오순절 은사 운동을 통해 이제는 인격의 변화뿐만 아니라 능력도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신앙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 일으켰고 결과적으로 폭발적인 교회 성장을 이루었다.
4. 이같은 현상들은 오순절이 아닌 다른 교단과 교회들에 지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모든 교파를 초월해 추구되기 시작했다. 이제 오순절의 은사 운동은 모든 교회에 자연스러운 성령 운동을 받아들이고 행하고 적극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2.신약 교회의 확장에 있어서 은사들의 역할
1.성령의 은사는 누구든지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는 다른 사람을 섬기기 위해 부여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신약 교회에 있어 성령의 은사는 모든 사람들을 교회의 주체로 세웠다.
2.은사는 각각 다르나 서로를 존중해야 한다 왜냐면 은사를 주시는 성령님이 같기 때문이다. 이는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 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는 데 목적이 있다. 신약 교회는 다양한 은사를 인정했고 이것이 그리스도의 온전한 몸을 이루기 위해 서로를 존중했다.
3.성령의 은사는 성도들이 사역을 위한 준비가 갖추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어진다. 하나님이 어떤 사람은 사도로 어떤 사람은 선지자로 어떤 사람은 복음 전하는 자로 어떤 사람은 목사로 어떤 사람은 교사로 교회 공동체에 주셨다고 기록되었는데 성도를 온전케 하며 성도가 장성한 분량에 이르도록 하는 일이 바로 목회사역이다. 이것은 동일하게 오늘날까지 교회 확장에 대한 위대한 방편이다.
4.성령의 은사는 그리스도의 몸이 세워지게 하기 위해 주어지는 것이다. 여러 지체가 서로 같이하여 돌아보게 한다. 교회 공동체가 그리스도의 한 몸임을 인식하면서 서로를 돌아볼 수있게 한다. 따라서 모든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이 주신 은사를 갖고 있다는 지식은 건전한 교회 공동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반이 된다. 건전한 공동체는 교회 확장에 있어 기반이 된다.
5.은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시기 위해서 주어지는 것이다. 충실한 종, 성실한 종이 되기 위해서 자신들의 은사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모든 기독교인이 은사를 갖고 있다는 지식은 인생의 의미와 긍정적인 자아상을 발견케 하고 인생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나의 존재는 타인의 존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긍정적인 사고의 변화와 나의 존재 가치는 타인의 존재의 가치와 더불어 온전하여질 수 있다는 인식이 변화를 초래한다. 교회 공동체는 그리스도의 한 몸임을 인식하면서 서로를 돌아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모든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이 주신 은사를 갖고 있다는 지식은 건전한 교회 공동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은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적인 재능"과 "영적 은사" (0) | 2009.04.26 |
---|---|
지혜, 지식의 말씀의 은사 (0) | 2009.04.26 |
성도들의 모든 활동들은 "은사들"이라고 제안하는 것이 가능한가? (0) | 2009.04.26 |
오순절/은사주의의 운동 (0) | 2009.04.26 |
부여 받은 성령의 은사 확인 가이드라인 (0) | 2009.04.26 |